코인과 토큰의 차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수있는 정리편

반응형

블록체인에 처음 입문하면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코인’과 ‘토큰’의 차이입니다.  둘 다 디지털 자산이고 거래가

가능하며, 가상자산 시장에서 혼용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기술적, 구조적, 활용 목적에서 명확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 투자자 기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코인과 토큰의 개념을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

 

 

1. 코인(Coin)이란? – 블록체인 자체를 가진 독립 화폐

 

코인은 독립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발행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솔라나(SOL) 등이 대표적인 코인입니다.

 

▶ 코인의 핵심 특징

  • 블록체인 자체를 운영하고 있음
  • 자체적인 합의 알고리즘(예: PoW, PoS 등)을 기반으로 작동
  • 주로 결제, 저장수단, 네트워크 운영보상 등으로 사용됨

 

예시: 비트코인은 자체 블록체인에서 거래 기록을 처리하며, 채굴자에게 보상으로 코인을 지급합니다.

 

 

▶ 대표적인 코인

  • 비트코인(BTC)
  • 이더리움(ETH)
  • 리플(XRP)
  • 솔라나(SOL)
  • 폴카닷(DOT)

2. 토큰(Token)이란? – 남의 블록체인에 얹힌 자산

토큰은 기존의 블록체인 플랫폼(주로 이더리움) 위에서 만들어진 디지털 자산입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자체 화폐(예: ETH)는 아니지만, 스마트 계약을 활용해 발행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 토큰의 핵심 특징

  • 자체 블록체인이 없음, 플랫폼 위에서만 존재
  • 대부분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생성 (ERC-20, BEP-20 등)
  • 서비스 이용권, 투자 수단, 거버넌스 참여권 등으로 활용됨

 

예시: 유니스왑(UNI), 체인링크(LINK)는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으로, 자체 네트워크가 아닌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돌아갑니다.

 

 

▶ 대표적인 토큰

  • 유니스왑(UNI)
  • 체인링크(LINK)
  • 샌드박스(SAND)
  • AAVE
  • Tether(USDT)

3. 코인 vs 토큰 한눈에 비교

항목 코인 토큰
블록체인 보유 여부 자체 블록체인 있음 없음 (기존 블록체인 사용)
발행 기술 블록체인 직접 개발 스마트 계약으로발행
대표 예시 BTC, ETH, SOL UNI, LINK, USDT
주요 용도 결제, 수수료, 네트워크 운영 서비스 접근권, 보상, 거버넌스 참여
거래 수수료 자체 네트워크 사용 플랫폼의 코인(예: ETH)로 수수료 지불

 

 

4. 투자자 관점에서 구분해야 하는 이유

  1. 기술적 안정성 판단 기준: 코인은 자체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확장성이 중요하고, 토큰은 기반 플랫폼의 상태에 의존합니다.
  2. 비즈니스 모델 파악: 토큰은 대개 서비스 이용권이나 프로젝트 내부 경제 생태계 구성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용도 파악이 중요합니다.
  3. 수수료 비용의 차이: 토큰 거래 시에는 항상 기반 코인(예: ETH, BNB) 으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4. 규제 이슈의 차이: 일부 국가에서는 토큰을 증권으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투자 시 법적 분류도 체크해야 합니다.

※ 마무리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요약
코인 정의 자체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
토큰 정의 타인의 블록체인 위에서 스마트 계약으로 발행된 자산
핵심 차이 블록체인 유무, 발행 방식, 사용 목적
투자 유의사항 기술 안정성, 수수료 구조, 규제 여부 등을 고려
반응형